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경제] 오늘 금시세? “순금 24K, 살 때 3.75g에 63만5000원”…불확실성에 따른 등락 예상

경제(Economy)

by 부부썰전(bbsuljeon) 2025. 7. 6. 14:21

본문

반응형

금시세

 

📌 오늘 7월 6일자 한국금거래소 기준, 24K 순금(3.75g)의 ‘살 때’ 가격은 63만5000원, ‘팔 때’는 54만2000원입니다. 24K 가격은 전일보다 1000원(-0.16%) 하락했지만, 백금과 은은 각각 상승세를 보여 금 시장은 아직도 불확실성이 높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백금(3.75g 기준)은 살 때 26만3000원(+0.76%), 은은 7110원(+0.14%)으로 상승세입니다.

 

최근 국제 경제 지표 발표와 지정학적 긴장 등 불안 요인이 산재한 가운데, 금은 단기적으로 가격 등락이 반복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시장 상황을 주시하며 시기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합니다.


🧾 관련 주요 기사

 

💬 부부썰전

🔴 보수 남편

여보, 금 시세 또 봤어? 오늘 3.75g 기준으로 살 때는 63만5000원이잖아. 지금 전 세계적으로 불안한 상황에서 금이 왜 ‘진짜 안전자산’이라 불리는지 다시 느끼게 되더라. 물론 하루 이틀은 출렁이지만, 결국 길게 보면 올라갈 수밖에 없어. 백금이랑 은도 같이 오르고 있다는 건, 지금 자산 회피 심리가 커졌다는 신호거든.

 

정부가 추경하고, 복지 예산 늘리겠다는 건 좋은데, 시장에 돈이 풀리면 그건 또 인플레이션 유발이야. 물가가 오르면 화폐 가치는 떨어지고, 결국 실물자산으로 시선이 돌아가는 거야. 금은 대표적인 인플레 헤지 수단이고. 국민의힘도 경고하잖아? "돈 풀다 거품 생긴다"는 거.

 

특히 지금 미국 연준 금리정책이 중요한데, 만약 기준금리 동결 또는 인하되면 달러 약세로 가고, 그 순간 금값은 또 튀어오를 거야. 우리도 금 팔 생각하지 말고 그냥 장기적으로 가져가는 게 맞아. 예전에 코로나 때처럼 갑자기 전쟁이나 경제쇼크 터지면 금값이 먼저 반응하는 거 기억나지?

 

그리고 부동산도 불안하고, 주식도 출렁이는데 지금 금만큼 심리적 안정 주는 자산이 어딨어? 괜히 금은방 앞에 줄 서 있는 게 아니라고.

 

 

🔵 진보 아내

여보, 나는 지금 금에 목매는 건 지나치다고 봐. 물론 금이 일정 부분 역할은 하지만, 지금 경제상황은 금만 쳐다보고 있을 때가 아니야. 당신 말대로 단기적으로는 불확실성이 있지만, 정부가 복지 강화, 내수 활성화 쪽으로 방향 잡은 건 분명히 경기 순환을 의식한 거야.

 

민주당이 말하는 '사람 중심 예산'이 바로 이런 때 필요한 거라고 생각해. 지난번에도 복지 강화하니까 실업률 내려가고 자영업자 숨통 트였잖아. 금에 쏟는 돈 있으면 차라리 지역화폐 투자나 중소기업 채권 펀드 사는 게 훨씬 경제 순환에 도움 되지. ESG 펀드도 요즘 장기 수익률 안정적이고.

 

그리고 당신이 말한 미국 연준 금리 인하 기대? 그건 이미 시장에 반영된 부분이야. 오히려 금은 지금처럼 다들 몰릴 때 사면 비싸게 사는 거야. 예전에 2022년에 다들 비트코인 몰렸던 거 기억 안 나? 안전자산도 결국엔 심리 과잉이 있으면 거품이 생긴다고.

나 같으면 차라리 지금은 실물경제가 돌아가도록 투자 방향 전환해야 한다고 봐. 금고에 금 들고 있는다고 경제 전체가 좋아지진 않잖아. 지금 우리한테 필요한 건 안정된 소비, 그리고 일자리 증가야. 정부도 그 방향으로 가고 있는 거고.

 

🔴 보수 남편

그럼 당신은 지금처럼 계속 금값 떨어질 거라고 보는 거야? 난 그렇게 안 봐. 국제 정세 봐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도 안 끝났지, 대만 해협은 언제 터질지 모르지. 그런 상황에서 달러에만 의존하겠다고? 차라리 금으로 리스크 분산하는 게 현명한 거지.

 

🔵 진보 아내

그런 상황이 걱정된다면, 국방 주식 사는 게 낫겠네? 농담 같지? 경제를 ‘위기-회피’ 프레임으로만 보면 계속 움츠러들 수밖에 없어. 지금은 회복 국면이야. 전쟁 걱정보단 경제 흐름을 타야 할 때라고.

 


❓ 당신의 의견은?

오늘의 금 시세 급등락 속, 당신은 어떤 전략을 택하시겠어요?

  • 장기 안전자산 보유 vs 실물경제 회복 중심 정책 기대
  • 혹은 시세차익 노리는 단기 트레이딩?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