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정치]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美 워싱턴서 “한·미 정상회담·관세·안보” 협의 위해 출국

정치(Politics)

by 부부썰전(bbsuljeon) 2025. 7. 6. 14:01

본문

반응형

한미 정상회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2025년 7월 6일,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미국 워싱턴을 향해 출국했습니다. 이번 방미의 핵심 목표는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 상호관세 유예 기한(7월 8일) 관련 협상, 그리고 안보·통상 분야의 전략적 협력 강화입니다. 인천공항에서 기자들에게 그는 “지금 협의 국면이 중요한 상황이라 제 차원에서 관여를 늘리기 위해 방미하게 됐다”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의에서도 유사한 협의를 해왔다고 설명했습니다. 

 

관세 협상은 7월 8일 만료 예정인 유예 기간이 핵심인데, 이 시점에서 관세율 인상 여부 또는 유예 기간 연장이 산업계에 즉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위 실장은 미국 무역대표부(USTR) 측과 밀도 있는 논의를 준비 중입니다.

 

또한 그는 "현안 중 하나"라며 한·미 정상회담 일정도 조율 대상임을 밝혔습니다. 현지에서는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겸 국무부 장관인 마코 루비오와의 면담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번 방미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고위급 미국 방문으로, 한국 정부는 추경 집행 준비와 외교·안보 현안 대응에 발 빠르게 나서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부 언론은 관세와 정상회담, 안보 사안을 동시에 처리하겠다는 위 실장의 일정이 이례적이라 평가하며 주목하고 있습니다.


 

📎 관련 기사 바로가기 (국내 주요 언론사)


💬 부부썰전

 

🔴 보수 남편

여보, 이거 봐. 위성락 실장이 방미 간 건 단순한 외교 의례가 아니라, 실질적인 한미 전략 재정비의 시작이야. 지금 관세 유예 만료되면 우리 수출기업들 다 타격 받아. 이 시점에 고위급이 직접 협상 나가는 건 아주 시의적절하지. 정상회담까지 같이 조율하는 건 오히려 효율적인 거야.

 

그리고 이번 방미는 새 정부 들어 처음 있는 고위급 외교야. 그만큼 미국도 우리 정부의 의지를 주목하게 될 거고, 동맹 외교 복원하는 데 큰 역할 할 거라고 봐. 당신은 진보정부 시절 외교가 늘 불투명하다고 비판받았던 거 기억 안 나? 그땐 북핵 문제도 실효성 없는 말뿐이었지.

 

또한 마코 루비오를 백악관 안보보좌관 겸 국무부 장관으로 만나려는 것도 아주 전략적인 접근이야. 이건 외교라인 실무가 아니라, 실질적인 결정권자와 직접 대화하는 거니까. 한미관계가 대등한 파트너로 격상되고 있다는 증거야. 이게 바로 윤 정부 외교 스타일이지.

 

🔵 진보 아내

당신은 진짜 겉만 번지르르한 외교에 너무 약해. 방미 일정에 외교·안보·통상을 다 한 번에 다룬다는 건, 겉보기에 ‘다 한다’지만 실제로는 어느 것도 깊이 있게 못할 가능성이 커. 한미정상회담 일정이 지금까지도 확정 안 된 것도 솔직히 미국 측의 관심이 그렇게 높지 않다는 반증 아니야?

 

그리고 관세 문제는 국내 산업계가 걸려 있는 중대한 사안인데, 왜 국방라인의 안보실장이 나서? 이건 통상장관이나 산업부 장관이 나서야 할 일이야. 오히려 이례적인 일정이라는 언론 평가가 그런 문제점을 짚은 거야. 보여주기식 ‘총력 외교’에 불과하다고 생각해.

게다가 윤석열 정부 들어 외교라는 게 늘 미국 눈치 보기, 중국과의 긴장 고조, 북한과는 대화 단절. 안보는 계속 위기론만 키우고 있어. 동맹 외교 좋지. 그런데 독자적인 전략은 있어? 미국이 관세 유지하면 우리는 또 “유감”만 표현하고 끝일걸?

 

🔴 보수 남편

여보, 위기 상황이니까 안보라인이 나서는 거지. 요즘은 외교·안보·경제가 다 연결돼 있어. 예전처럼 분야만 나눠서 나뉘는 시대가 아니라고. 이번 방미에서 미국과 공급망 협력도 논의된다고 했잖아. 이건 국가 전반에 관련된 큰 그림이야. 당신은 왜 그렇게 매사에 불신부터 해?

 

🔵 진보 아내

나는 불신하는 게 아니라, 현실을 보는 거야. 지난 정부처럼 대북·중국과의 외교도 병행하면서 균형 잡았어야 하는데, 지금은 미국 쪽으로만 너무 치우쳐 있어. 안보라는 이름으로 외교를 좁게 보는 게 문제야. 그렇게 가다간 우리만 고립될 수도 있어.


❓ 당신의 의견은?

위성락 실장의 한·미 정상회담 조율, 관세 유예 협상, 안보 전략 동시 추진을 두고,

  1. 절차적 조율과 국내 산업 보호가 우선이다,
  2. 현 시점 빠른 외교·경제 대응이 필수다.

당신은 어느 쪽인가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