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6월 말,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통계에 따르면 국내 체류 외국인의 숫자는 사상 최고치인 2,732,797명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는 전월(2,692,729명) 대비 1.5% 증가, 약 4만 명 늘어난 수치입니다. 이러한 증가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작스러운 감소(2021년 약 1,960,000명) 후 2023년 2,510,000명, 2024년 2,650,000명을 지나며 꾸준히 상승한 결과입니다.
장기 체류 외국인은 등록 외국인(1,559,975명)과 외국국적 동포(552,419명)를 포함해 총 2,112,394명, 전체의 약 77% 수준입니다. 단기 체류자는 약 62만 403명으로 전체의 22.7%에 해당하며, 관광객·단기 체류 목적이 증가한 영향을 엿볼 수 있습니다.
국적별로 살펴보면 중국 국적자가 97만 2176명(35.6%)으로 가장 많으며, 전체 외국인의 약 3명 중 1명이 중국 국적입니다. 베트남(341,153명, 12.5%), 미국(196,664명, 7.2%), 태국(173,710명, 6.3%), 우즈베키스탄(98,457명, 3.6%)이 그 뒤를 잇습니다. 특히 중국 국적자 가운데 조선족 등 외국국적 동포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해 단일 국적 해석이 어렵습니다. 연령대 구성은 30대 25.7%, 20대 23.1%로 청·장년층이 주를 이루며, 유학생은 27만6천 명으로 지난해 전체 유학생 수(26만3천 명)를 이미 능가했습니다. 취업자격 외국인 중 전문인력은 약 9만8천 명, 단순 기능 인력은 51만2천 명입니다. 지역별 분포는 수도권이 등록 외국인 54%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높은 밀집도를 보이고, 그 외 영남권(20.3%), 충청권(12.9%), 호남권(8.8%) 순입니다.
이러한 외국인 체류 급증은 우리 사회 구조 변화의 상징입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감소한 노동력과 인구 감소 문제를 보완할 기회인 동시에, 사회 통합, 차별, 복지, 치안 부담과 같은 숙제도 함께 떠오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체계적인 외국인 정책 정비, 언어·문화 통합 지원, 차별 방지 장치 및 통계 투명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한국 체류 외국인 '역대 최대' 273만명…3명 중 1명은 중국인 | 미주중앙일보
국내 체류 외국인 3명 중 1명은 중국인으로 조사됐다. 한편 한국 체류 외국인은 역대 최다인 273만명을 넘어섰다. 27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학업이나 근로, 관광 등
www.koreadaily.com
한국 체류 외국인 ‘역대 최다’…3명 중 1명은 중국인
등록 외국인 156만 명…수도권 집중 뚜렷 중국인 비중 여전히 압도적…전체 외국인의 35.6% 올해 6월 말 기준, 한국 내 외국인 체류자가 역대 최대 규모인 273만 명을 돌파했다. 이 중 중국 국적 체
www.epochtimes.kr
국내 체류 외국인 273만 역대 최다… 3명중 1명이 중국인
한국에 살거나 관광하러 온 외국인이 273만 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적별로는 중국인이 97만 명으로 가장 많아 3명 중 1명꼴로 나타났다. 27일 법무부 출입국…
www.donga.com
여보, 나는 진심으로 지금 우리가 다문화 사회로 가는 게 불가피하면서도 필요한 방향이라고 생각해. 체류 외국인이 273만 명, 그중 장기 체류자만 211만 명이라는 건, 이 사람들이 우리 사회에서 단순히 ‘손님’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주민’이란 의미잖아. 특히 유학생, 전문 인력 비율이 계속 늘고 있다는 건 우리 사회가 인구 감소 문제를 어느 정도 보완하고 있다는 증거지. 예를 들어 지역의 아동복지센터에서도 다문화 가정 대상 프로그램 늘고 있고, 언어가 안 통해도 공공기관에서 번역기를 활용해서 도와주는 경우가 많아졌어. 이게 부담이라고만 보지 말고, 우리 행정 시스템이 진화하는 거라고 봐야지.
게다가 요즘 아이들 학교 보면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태국에서 온 친구들 진짜 많아졌잖아? 우리 애도 옆자리 친구랑 영어랑 한국어 섞어가면서 얘기하고, 학교에서 문화 교류 수업 한다고 좋아하더라. 이건 아이들한테 세계시민 감각을 심어주는 교육이기도 해. 치안이나 사회 통합과 관련된 걱정은 나도 공감해. 근데 그래서 더 적극적으로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노동권 교육, 문화 이해 교육 같은 걸 확대해야 되는 거야. 단순히 숫자가 많아졌다고 규제부터 얘기하는 건 시대착오적이야.
그리고, 우리가 고령화 사회 진입한 거 당신도 알잖아. 2040년쯤엔 생산가능인구가 엄청 줄어들 텐데, 그때 누가 농사짓고, 돌봄노동하고, 제조업 일선에서 일할 건데? 지금 이 외국인들이 없으면 우리 사회가 제대로 굴러가지도 않아. 장기적 안목에서 바라봐야지.
여보, 당신 말처럼 외국인 유입이 필요한 측면도 있겠지. 나도 그건 인정해. 근데 지금처럼 무분별하게 숫자만 늘어나는 건 진짜 문제야. 외국인 인구가 273만 명이면 우리 전체 인구의 5%야. 이건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 구조적인 재편이야. 근데 정부는 대책을 세우긴커녕 그냥 ‘많아졌다’고만 발표하고 있잖아.
특히 중국 국적자만 97만 명, 거기다 수도권 집중도 54% 넘는다니, 이건 사실상 서울·경기 인프라가 외국인으로 포화됐다는 거야. 요즘 우리 회사 근처 식당도 대부분 외국인 직원들이 일하고, 병원도 번역 앱 켜고 진료 보더라. 이게 나쁜 건 아니지만, 지역주민이 ‘내가 소수야?’라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건 분명한 거지. 게다가 현실적으로 불법 체류자 문제, 외국인 범죄율 증가, 복지 혜택 악용 이슈도 무시할 수 없어. 그동안 외국인 건강보험 악용 사례도 많았잖아. 요즘도 체류 목적 조작해서 유학생으로 들어왔다가 단기 알바만 하다 나가는 경우 꽤 많아. 그리고 당신 말대로 다문화 교육 필요하다면, 먼저 우리 아이들의 문화 정체성도 지켜줘야 하는 거 아니야? 지금은 다문화 강조하다가 우리 역사교육, 한글교육은 뒷전으로 밀릴 정도야. 교육은 통합도 중요하지만 균형이 더 중요해.
또 하나, 당신 말처럼 고령화 대응으로 외국인이 필요하다면, 정부가 체류자격 관리부터 똑바로 해야지. 지금처럼 누구든 들어와서 몇 달 지내다가 합법적 장기체류로 전환되는 시스템은 문제가 있어.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하는 기업도, 일정 비율은 내국인 고용 조건을 걸고, 불법고용은 엄격하게 처벌해야지.
나는 이게 ‘포용의 문제’만은 아니라고 봐. 국가라는 건 기본적으로 자국민을 먼저 보호해야 할 책임이 있어. 외국인 통합 정책은 그다음이야.
📢 [사회·문화] 모자보건법 일부개정법률안(2211653호) 논란 확대 – 낙태 허용 범위 확대 vs 생명 보호 중심 입법 (8) | 2025.08.02 |
---|---|
🌟 [사회·문화] ‘75개국 No.1’ BTS 뷔, 2025 상반기 구글트렌드 K‑팝 스타 1위 (8) | 2025.07.31 |
📰 [사회] 값싼 노동력으로만 여겨지는 외국인 노동자들…『지게차 인권유린』 사건이 말해주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결함 (24) | 2025.07.27 |
📢 [문화] ‘K팝 데몬 헌터스’, 전 세계 흔든 K컬처 진화 실험 (25) | 2025.07.23 |
📣 [사회] “60대 아버지, 생일잔치 중 사제총기로 아들 살해…‘유튜브서 총기 제작법 배웠다’ 진술” (32) | 202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