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정치] 미국, 유네스코 탈퇴 공식 발표…“2026년 12월 31일 종료 예정”

정치(Politics)

by 부부썰전(bbsuljeon) 2025. 7. 26. 14:47

본문

반응형

미국 유네스코 탈퇴 선언

📰 뉴스 요약

2025년 7월 22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UNESCO(유네스코)로부터의 재탈퇴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는 미국이 1984년 레이건 행정부, 2017년 트럼프 행정부에 이어 세 번째로 유네스코를 떠나는 것으로, 2026년 12월 31일부터 탈퇴가 효력을 발휘하게 됩니다. 백악관과 국무부는 유네스코가 추진하는 다양성·형평성·포용(DEI) 정책, 팔레스타인 정회원 승인, 반이스라엘 및 친중국 성향의 정책 등을 “미국 유권자들이 지지하는 상식적 정책과 괴리된다”고 지적하며, ‘America First’ 외교 전략의 일환으로 이번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습니다. 

 

유네스코 사무총장 오드리 아줄레이는 깊은 유감을 표명하면서도, 이미 미국의 기여금 의존도를 약 8% 수준으로 낮추고 재정 다변화를 이루는 등 준비를 마쳤기 때문에 운영에 큰 지장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탈퇴는 예견된 조치이며 유네스코는 여전히 다자주의적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과학계에서는 이번 결정이 AI 윤리, 기후변화 대응, 교육 접근성 확대 등 글로벌 과제 수행에 심각한 제약을 줄 수 있다고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Nature 연구자들은 미국의 탈퇴가 국제 교육 프로그램, 홀로코스트 교육, 난민 및 저소득 국가 대상 복원 및 지원 사업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민주당 측 그레고리 믹스 의원은 이번 결정이 미국의 국제 리더십을 약화시키는 전략적 실책이며, 중국 등 경쟁국이 국제 규범 설정의 주도권을 가져갈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습니다. 또한 프랑스는 강한 유감과 함께 유네스코에 대한 변함없는 지지를 재확인했습니다. 반면 팔레스타인 정회원 승인에 반대하는 이스라엘 정부는 미국의 결정에 환영의 뜻을 내비쳤습니다. 

 

미국은 과거에도 정치적 이유로 유네스코에서 탈퇴했다가 재가입했으며, 이번 탈퇴로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 약화와 다자주의 기구에 대한 지속적인 거리를 명확히 한 사례로 기록될 전망입니다.


💬 부부썰전 

 

🔴 보수남편

 

여보, 이번 미국 유네스코 탈퇴 소식 봤어? 이번엔 트럼프가 2026년 말 최종 탈퇴를 발표했더라. 유네스코가 추진하는 DEI 정책(하단 ※참고1)이나 팔레스타인 승인, 반이스라엘 성향 같은 걸 미국 가치와 맞지 않는다고 보고 나온 결정이래. 결국 ‘America First’ 전략이 국제 무대에서도 더욱 강화된 셈이지. 미국 입장에선 유네스코가 너무 정치화된 기구라고 느꼈을 수도 있어. 참여해도 영향력 제한되고, 기여금만 부담된다고 보면 빠지는 게 나을 수 있다는 논리도 이해가 돼. 협력이 중요하지만, 자국 이익을 우선해야 하는 국가적 판단이라는 점에서 이 결정이 전적으로 이해 안 되진 않아. 그렇다고는 해도, 국제 협력 기구에서 탈퇴를 반복하는 건 국격에도 좋지 않은 선택이지. 특히 중국이 기여금을 늘려가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유네스코 탈퇴는 오히려 미국이 리더십을 스스로 포기하는 것일 수도 있어.

 

🔵 진보아내

 

이건 단순한 외교적 결정이나 경제적 선택이 아니야. 유네스코는 단순한 문화유산 관리 기구가 아니라, AI 윤리 지침, 기후 대응, 교육과 인권 확대 같은 인류 전체의 공동 과제를 맡는 글로벌 기관이야. 그런 곳에서 미국이 빠지겠다는 건, 결국 세계 평화와 발전의 공동 목표에서 손을 떼겠다는 선언이나 다름없어.

 

‘America First’라는 명분으로 유네스코의 다양성과 포용 정책을 ‘woke하다’, ‘좌편향됐다’고 조롱(하단 참고2)하면서까지 탈퇴하는 건, 오히려 미국 스스로 국제적 책임을 회피한다는 인상을 줄 수밖에 없어. 강대국이라면 다양한 가치관을 포용하고 규범 형성에 참여하며 리더십을 발휘해야지. 유네스코가 진행하는 홀로코스트 교육, 반유대주의 대응, 난민 교육 지원 같은 프로그램은 미국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도해야 할 영역이야. 

 

Nature에서도 미국의 참여가 사라지면 AI와 기후, 교육 분야에서 국제 협력의 질이 떨어질 거라고 분석했어. 그리고 믹스 의원도 말했잖아, 미국이 빠지면 중국이 빈자리를 채워 국제 규범 설정을 주도할 수 있다고 경고한 거. 미국이 힘 잃는 건 타국의 손에 영향력을 넘겨주는 것과 같아.

 

🔴 보수남편

미국 내에서 정치적으로 유네스코가 불편한 요소가 많은 건 맞지. 팔레스타인 관련 문제, 반이스라엘 성향, AI 윤리나 교육 정책에서 미국 내 보수층과 충돌하는 사안들이 많다는 점도 있어. 그런 것들이 지속되면 정부의 지출비용도 줄고 내정에도 영향을 덜 줄 수 있는 건 사실이지.

 

🔵 진보아내

하지만 단기적으론 그럴 수 있어도, 국제 리더십을 잃는 건 미국 입장에서 장기적으로 더 큰 손해 아닐까? 유네스코가 이제 미국 기여금을 8%로 줄여 다변화에 성공했다고 하지만, 목소리가 줄어들면 영향력도 줄어드는 거잖아. 유네스코에 대한 영향력이 유지되어야 한국 같은 나라들도 문화유산 보호, 교육 지원, AI 윤리 협력에서 유익을 얻을 수 있는데 말이야. 그리고 이번 결정은 개발도상국 교육 프로그램, 문화재 복구 사업 등의 약한 국가들에게 실질적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미국처럼 힘 있는 나라가 빠지면 국제적 재분배 구조와 협력 네트워크까지 흔들릴 수 있어.

 

🔴 보수남편

그래, 당신 말처럼 영향력이나 책임 문제를 생각하면 신중해질 수밖에 없지. 그런 면에서 유네스코 기구 내 참여를 통해 개혁을 추구했어야 한다는 의견도 맞는 것 같아. 특히 미국이 한때 최대 기여국이었고, 유네스코 구성원으로서 교체 및 개편 요구를 계속 제기할 수 있었는데 스스로 빠지는 건 결국 영향력 희석으로 이어지는 선택이라는 생각도 드네.

 

🔵 진보아내

결국 국제사회에서 함께 문제를 풀어가려는 태도와 책임을 다하는 국가처럼 행동해야 신뢰받는 리더국가로 남는 거야. 이번 결정은 단지 자국 중심 전략을 넘어, 국제 공동체에 대한 책임 회피로 비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많이 논의되어야 한다고 봐.


 

🗣 당신의 의견은?

 

미국의 유네스코 탈퇴 결정, 여러분은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국제 협력 기구에서 영향력을 유지하며 적극적인 개혁에 참여해야 한다고 보시나요?

아니면 자국 중심 전략이 현실적이고 필요하다고 보시나요?

 

※ 참고1. 유네스코가 추진하는 "DEI 정책"이란?

1. Diversity(다양성)

  • 성별, 인종, 언어, 종교, 장애, 경제 수준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습자 모두를 학교 교육에 포함시키기 위한 정책입니다.
  • 여러 언어 사용을 장려하고, 소수자 및 이주민·장애 학생을 고려한 교육 과정을 구성합니다.

2. Equity(형평성, 공정한 자원배분)

  • 동일한 교육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로, 지역·배경·능력에 따라 맞춤형 지원과 자원 배분을 시행합니다.
  • OECD와 유네스코는 교육 시스템을 개혁할 때 사회적 약자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형평 중심 구조’를 강조합니다.

3. Inclusion(포용)

  • 장애, 성소수자, 난민, 여성, 경제적 취약 계층 등 다양한 집단이 교육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재설계합니다.
  • UNESCO는 이를 위해 교사 연수, 커리큘럼 개혁, 학교 자원 및 시설 개선 등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 대표 프로그램(예시)

  • "성별 격차 해소를 위한 행동 촉구(Call to Action to Close the Gender Gap in Science)": 과학 분야에서 여성 참여 확대를 목표로 한 글로벌 이니셔티브입니다. 
  • 문화 다양성 보호 협약: 다양한 문화 표현과 산업을 유지 및 보호하는 국제적 규범 도입을 추진합니다.

DEI 정책은 단순한 교육 개혁을 넘어, 사회적 약자 포용, 인권 수호, 문화 다양성 보호 등 전 세계 공공재적 가치를 지향하는 글로벌 표준입니다. 미국의 유네스코 탈퇴 결정은 이러한 가치 추구보다는 자국 중심주의, 정치적 가치 충돌 회피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봐야 하며, 유네스코가 수행하는 사회적 기능과 국제협력 취지에 반하는 선택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참고2. 트럼프의 "woke하다"라는 표현의 의미는?

트럼프가 유네스코 탈퇴 이유로 언급한 “woke하다”는 표현은, 보수 진영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로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Woke”란 원래는 “사회적 불평등과 인권 문제에 깨어 있는(aware)” 태도를 의미하는 미국 흑인 인권운동 용어였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성소수자(LGBTQ+) 권리, 성평등, 다양성(Diversity), 형평성(Equity), 포용성(Inclusion) 등을 강조하는 사회운동 전반을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됐습니다.

🚨 트럼프가 말하는 “Woke”의 맥락

  • 트럼프를 포함한 보수 진영에서는 이 단어를 “좌파적 가치관 강요”, “정치적 올바름(PC)의 극단화”, 혹은 **“이념 편향”**으로 비판적 의미로 사용합니다. 트럼프는 유네스코가 이런 ‘woke한 정책’, 예컨대 팔레스타인 승인, 성평등 중심 교육 정책, 인종·성 소수자 포용 캠페인을 추진한다고 보고, 미국의 보수적 가치와 충돌한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트럼프가 유네스코를 “woke하다”고 표현한 것은, 유네스코가 미국 보수층이 반대하거나 불편해하는 진보적 이슈(성평등, 다양성, 인권 등)를 너무 앞세우고 있다고 비판하는 맥락입니다. 다시 말해, 트럼프는 유네스코가 “좌파 성향이 강하고, 미국의 전통적 가치와 맞지 않는다”고 본 것입니다.
 
 

✅ 관련 뉴스

 

Trump Just Pulled Out of UNESCO (Again) Because It’s ‘Woke’

A spokesperson for the State Department has slammed the world heritage organization for “advancing divisive social and cultural causes.”

www.thedailybeast.com

 

 

Withdrawal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rom UNESCO: statement by

About UNESCO  With 194 Member States,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contributes to peace and security by leading multilateral cooperation on education, science, cultur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Headquartered i

www.unesco.org

 

 

Trump pulls US out of Unesco in blow for UN culture and education agency

White House cites Unesco’s focus on ‘divisive social and cultural causes’ in latest withdrawal from global bodies

www.theguardian.com

 

 

Meeks Statement on the Trump Administration Withdrawing the U.S. from UNESCO

 

democrats-foreignaffairs.house.gov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